스프링 부트에서 Multipart – 다운로드편

1편의 업로드 기능을 구현했다면 2편에서는 다운로드를 위한 Controller 와 리소스를 가지고오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전편에서 업로드를 구현하기 위해 Multipart 를 사용했다면 이번 편에서는 파일 식별자로 어떻게 파일을 특정하고 응답으로 파일을 내려줄 수 있는지 구현해본다. 다운로드 바이너리는 org.springframework.core.io.Resource 를 통해 응답을 내려주는것이 특징이다. 컨트롤러부터 보자. 컨트롤러에서 파일을 내려 줄 때 두가지 유형이 있다. 이 둘의 차이는... » read more

스프링 부트에서 Multipart – 업로드편

시작에 앞서서.. 이번에도 전편의 인기에 의해 불려나온 후속편이다. 지난번 아무것도 모르던 시절, 아파치의 commons-io 를 활용해 CommonsMultipartResolver 로 구현했다. 이번에는 스프링의 MultipartFile 를 이용해 파일 업로드 기능을 구현해보겠다 (현재 개인 프로젝트에 이 방식을 사용중) 아울러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MVC 강의에 이같은 내용이 많기 때문에 이번에는 파일을 서빙하고 저장하고 관리되는 관점에서 글을 더 풀어보겠다. 이 글을... » read more

Redis를 RDB처럼 쓰려고 했던 시도

🫠 실패에 대한 짧은 결론 : 레디스는 인메모리 DB로써 빠른 IO를 요구하는 작업에 최적화 되어있다. 예를 들면 세션 클러스터링이나 캐싱에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Entity를 계층 구조로 만들고 깊은 내부의 있는 필드에 Document나 RDB 하듯 LIKE 쿼리를 구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보인다. 물론 단순한 구조의 Entity에 id필드를 지정하고 id를 가지고 직렬화/역직렬화 하는 것은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key로 value에... » read more

Spring의 테스트 주도 개발 스타일

TDD란 무엇인가? 를 떠나서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TDD를 어떻게 진행하는지에 대한 정리. 여러 스타일 중 한가지 서비스 로직 엔티티와 영속성 API 테스트 통합 테스트

JPA의 연관관계와 즉시로딩 이슈

연관관계 매핑 테이블과 객체의 연관관계에 대한 패러다임의 차이가 있다. 테이블은 연관관계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 (constraint 제외) 테이블간 연관관계가 필요하면 JOIN을 통해 관계를 갖는 방법 뿐이다. 반면 객체는 참조용 필드가 있으면 그쪽으로 참조가 가능하다. 클래스 내 멤버의 참조를 통해 이뤄진다. 이를 통해 양방향과 단방향 모두 관계를 정립할 수 있다. 연관관계의 주인 N:1 외래키를 들고있는 쪽이... » read more

Spring WebFlux vs Spring MVC

WebFlux는 기존의 Spring MVC와 무엇이 다른가? 실제로 Async를 활성화 한 Spring MVC 와 Spring WebFlux의 단순 처리 속도 차이는 있다. (약 5배) Spring MVC (with Async) Spring WebFlux 볼만한 글

Java; Generic Methods

제네릭 메소드 개요 용법 : <T, R> R method(T t)제네릭 메소드는 매개 타입과 리턴 타입으로 타립 파라미터를 갖는 메소드를 말한다. 제네릭 메소드를 선언하는 방법은 리턴 타입 앞에 <> 기호를 푸가하고 타립 파라미터를 기술한 다음, 리턴 타입과 매개 타입으로 타입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된다. 제네릭 메소드는 두 가지 방식으로 호출 할 수 있다. 예제코드

Spring Argument resolver

RequestMappingHandlerAdapter 어노테이션 기반의 컨트롤러, @RequestMapping을 처리하는 HandlerAdapter. RequestMappingHandlerAdapter 동작 방식 ArgumentResolver 어노테이션 기반의 컨트롤러는 다양한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HttpServletRequest, Model, @RequestParam, @ModelAttribute, @RequestBody) 이것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은 ArgumentResolver기반에서 작동하기 때문이다. 원하는 ArgumentResolver를 만들수도 있다. ReturnValueHandler 컨트롤러의 반환 값을 변환 (ModelAndView, ResponseBody, HttpEntity..) HTTP MessageConverter 각 ArgumentResolver들이 HTTP MessageConverter를 사용해 필요한 객체를 생성한다. 각... » read more

JdbcTemplate의 SimpleJdbcInsert Bean 등록에 관하여

SimpleJdbcInsert 빈 등록에 대하여 Reference 일단 오류와 상관없이.. SimpleJdbcInsert를 빈으로 만드는건 뭔가 이상한듯 저게 저 Repository에서만 쓸텐데.. 저걸 빈으로 만들어서 얻는 이점이 없음 JDBC 드라이버에서 제공해주는 DB 메타데이터를 사용해서 insert 쿼리 정보로 사용한다던데 왠지 빈으로 등록 시점에 JDBC 연결이 완료되지 않았을수도 있겠다 여튼, Entity 객체에서 리플렉션으로 ‘타입’정보를 꺼내쓴다면 애초에 dataSource같은게 필요없겠지 (순수 Java 리플렉션만으로 될테니)...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