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의 테스트 주도 개발 스타일
TDD란 무엇인가? 를 떠나서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TDD를 어떻게 진행하는지에 대한 정리. 여러 스타일 중 한가지 서비스 로직 엔티티와 영속성 API 테스트 통합 테스트
TDD란 무엇인가? 를 떠나서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TDD를 어떻게 진행하는지에 대한 정리. 여러 스타일 중 한가지 서비스 로직 엔티티와 영속성 API 테스트 통합 테스트
제네릭 메소드 개요 용법 : <T, R> R method(T t)제네릭 메소드는 매개 타입과 리턴 타입으로 타립 파라미터를 갖는 메소드를 말한다. 제네릭 메소드를 선언하는 방법은 리턴 타입 앞에 <> 기호를 푸가하고 타립 파라미터를 기술한 다음, 리턴 타입과 매개 타입으로 타입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된다. 제네릭 메소드는 두 가지 방식으로 호출 할 수 있다. 예제코드
기본적인 사용법 Optional 객체 만들기 Optional 개체 를 만드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빈 Optional 객체 를 생성하려면 empty() 정적 메서드 를 사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 값의 비교 isPresent(), isEmpty() isPresent() 메서드를 사용 하여 Optional 객체 내부에 값이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 값은 null 이 아닌 값으로 Optional 을 만든 경우에만 존재 합니다. 다음 섹션에서 isPresent()... » read more
Object class java.lang 패키지 java.lang.*은 컴파일 할때 자동으로 추가된다. 모든 클래스의 최상위 클래스 Object Object클래스는 모든 자바 클래스의 최상위 클래스다. 모든 클래스는 Object 클래스로부터 상속을 받는다. 클래스를 만들때 extends Object를 하지 않지만, 컴파일 과정에서 자동으로 들어간다. 모든 클래스가 Object 클래스를 상속 받았으므로 Object의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고 재정의 할 수도 있다 주로 사용되는 Object클래스의 메소드... » read more
직렬화 직렬화와 역직렬화 클래스의 상태를 저장해 전송하거나 저장할 일이 있다. 그럴때 인스턴스의 어느 순간을 저장하는것을 직렬화라고 한다. (Serialization) 인스턴스의 저장된 상태를 다시 복원하는 것을 역직렬화라고 한다. (Deserialization) 직렬화란 간단하게 인스턴스의 내용을 연속 스트림으로 만드는 것이다. 스트림으로 만들어야 파일에 쓸 수도 있고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도 있다. 직렬화를 위한 보조 스트림 ObjectInputStream(InputStream in) ObjectOutputStream(OutputStream out) 직렬화/역직렬화 테스트... » read more
자바 입출력과 스트림 스트림이란? 자바에서 모든 입출력은 Stream을 통해 이루어진다. 파일 디스크 키보드 모니터 메모리 네트워크 등등 모두 포함. Stream이란 용어는 네트워크에서 유래됐다. 입출력장치가 다양하기 때문에 자바는 입출력 장치와 무관하고 일관성 있게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일종의 가상 통로인 Stream을 제송한다. Source와 target에 따라 각각 다른 Stream 클래스를 제공한다. 입력 스트림과 출력 스트림 입력 스트림... » read more
서블릿 : 비즈니스 로직 서블릿 비즈니스 처리 작업이란 서블릿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으면 그 요청에 대해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대부분의 비즈니스로직 처리는 DB연동 작업이 동반된다. 서블릿의 데이터베이스 연동 DAO와 VO를 사용한 회원정보 연동을 해보자 서블릿으로 회원 정보 테이블의 회원 정보 조회 H2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준비한다 쿼리를 밀어넣고 maven.xml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MemberDAO, MemberVO MemberServlet... » read more
예외처리 예외 클래스 오류란 무엇인가? 프로그램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은 Compile error와 runtime error 두가지다 Compile error : 프로그램 코드 작성 실수로 발생하는 오류. 개발 환경에서 대부분의 원인을 알 수 있다. Runtime error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의도하지 않은 동작을 하거나 프로그램이 중지되는 실행 오류. 프로그램을 잘못 구현해 의도한 바와 다르게 실행됙어 생기는 오류를 버그라고 한다.... » read more
스트림 스트림이란? 배열 요소를 특정 기준에 따라 정렬 하거나 (sort), 요소 중 특정 값은 제외하고 출력하는 기능 (filter). 이런 자료처리에 대한 기능을 구현해놓은 클래스가 stream이다. 스트림을 활용하면 자료를 일관성 있게 처리할 수 있다. 자료에 따라 기능을 새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자료형에 상관없이 같은 방식으로 메소드를 호출한다. 간단한 스트림 예제 Arrays.stream() : 스트림의 생성 부분이다 forEach()... » read more
서블릿 기초 Servlet의 세가지 기본 기능 Servlet이 수행하는 세가지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는다.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다. 처리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으로 내려보낸다. 초기 웹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서블릿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비즈니스 작업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작업했다. Servlet 요청과 응답 API 요청과 응답에 관련된 API는 모드 javax.servlet.http패키지에 있다. HttpServletRequest... » read more